UAM(도심 항공 모빌리티) 2025년 상용화 서비스 개시 가능할까?
"정부는 4일 열린 제2차 혁신성장전략회의에서 차세대 모빌리티인 도심 항공교통(UAM, Urban Air Mobility)의 2025년 상용화 서비스 개시를 주 내용으로 하는 ‘한국형 도심 항공교통(K-UAM) 로드맵’을 확정·발표했다."는 기사가 있습니다.
주요 내용
- 대도시권은 지상교통 혼잡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 3차원 교통수단 도심항공교통(UAM)이 대두되고 있다.
- 소재·배터리·제어(S/W)·항법 등 핵심 기술이 발전을 통한 도심항공교통은 실현 가능한 차세대 모빌리티로 떠올랐다.
- 버스·철도·PM(Personal Mobility) 등과 연계교통(Seamless) 서비스의 일환으로 추진된다.
- 2025년에 도입하는 실천계획에 초점을 맞추고, ‘도심항공교통 선도국가로의 도약’, ‘시간과 공간의 새로운 패러다임 구축’, ‘미래형 일자리 창출 가속화’라는 세 가지 비전을 제시했다.
- 국가 차원의 포괄적 운항기준(National ConOps)을 마련하고 기상·통신·도시 등 지역별 실태조사 결과를 반영한 지역별 운항 기준(Regional ConOps)으로 구체화해 나간다.
* UAM(Urban Air Mobility) 도심 항공 모빌리티
수직이착륙이 가능한 개인 항공기(PAV, Personal Air Vehicle)로 오가는 교통 개념이다. 여객기나 헬기보다 1회 이동거리는 짧지만 300~600m의 낮은 고도를 적은 비용으로 오갈 수 있다. 또한 내연기관이 아닌 전기 동력을 활용해 탄소배출이 없어 소음도 헬기보다 훨씬 작아 쾌적한 운행이 가능하다. 이러한 장점과 친환경성으로 인해 UAM는 미래 혁신 교통 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다.
도심 항공교통의 교통관리
- 한국형 드론교통관리체계(UTM)인 K드론 시스템을 활용해 단계적으로 구현
- 도심항공교통용 터미널(Vertiport)의 건축과 관련된 구조, 충전, 비상착륙 설비 등에 대한 안전기준 마련
- MRO(기체 유지보수·정비), 조종사 자격도 기준을 탐색·구체화
- 자율비행용 항공분야 AI인증방안도 마련
모빌리티의 기술이 핵심원칙인
안전성(프로펠러 하나에 이상이 있더라도 문제없이 이착륙, 낙하산 전개 시스템 적용),
저소음(탑승자 간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가능),
경제성과 접근 용이성(누구나 이용 가능한 가격 경쟁력 보유),
승객 중심의 편의성(사물인터넷과 결합된 내부 디자인과 편의성, 안정성 확보) 등의
로드맵을 정부가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것 같습니다.
1. UAM과 관련한 세계시장의 움직임에 대하여 보기로 하겠습니다.
- 시티 에어버스
- 구글 키티호크의 저소음 차량 'Heaviside'
- 우버의 eVTOL(Electric Vertical Take-Off AND Landing)
- 미국의 벨 텍스트론(Bell Textron)
- 독일의 스타트업 블록 콥터(Volocopter)
- 독일의 스타트업 릴리움(Lilium)
2. 국내의 주요 소식들은 무엇이 있을까요?
- 액화수소 드론 택시(UAM) 개발에 나선 강원
강원도는 유‧무인항공기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해 강원 테크노파크, 디스 이즈 엔지니어링 와 협력을 통해 액화수소를 기반으로 하는 특수목적용 유‧무인 드론 택시(UAM) 시제기 개발에 나선다.
- 청주대학교 예술대학에 둥지를 튼 드론·UAM 연구센터 충청
충북도가 '드론·도심형 항공교통(UAM) 연구센터'를 설립하는 등 미래 모빌리티 산업 선점에 나섰다.
- '플라잉 카' 공개 1년…UAM에 진심인 현대차
현대차 그룹은 "美 항법 학회 이사인 이지윤 카이스트 교수를 사외이사에 선임했다."
- 현대차 그룹, UAM전담 미국 현지법인 연내 출범
- 한화, '에어택시'... UAM 개발 속도
등이 있습니다.
'UAM이 2025년 상용화'되어 정말 우리의 도심으로 다가올 것 같습니다.
* UAM관련주
- 현대차 : 최근 어반 에어 포트가 영국 내 조성하는 플라잉 카 전용 공항인 '에어원'의 공동 파트너로 선정
- 한화 시스템 : 군사장비의 제조 및 판매하는 방산부문과 IT 아웃소싱 등 서비스 판매하는 ICT 부문 사업을 영위
- 네온 테크 : 드론 사업부를 신설하여, 물류분야 산업용 드론 관련 국책 과제와 군부대 정찰용 드론 구매사업을 추진
- 베셀 : 2022년까지 수직이착륙 및 고속 비행이 가능한 무인기 시스템을 개발
- 제이씨현시스템 : 컴퓨터 그래픽카드 유통사이며, 세계 최대 드론 전문업체인 중국 DJI의 국내 공식 공급 업체
- 퍼스텍 : 자회사인 유콘시스템의 무인항공기 사업을 영위
- 기산텔레콤 : 현대제이콤과 모피언스를 통해 각각 방위사업부문과 항공 산업부문의 사업을 영위
- 휴니드 : 드론 운용에 사용되는 데이터링크 설루션을 공급하고 있으며, 수직 이착륙 드론의 통신 기술을 개발
- 피씨디렉트 : 세계 드론 시장에서 탑을 다투고 있는 DJI와 패럿 사의 드론을 국내 최초로 유통 중
* 관련 기업 재무 비교
UAM 관련 기업의 매출이 관련 부분에 집중된 상태는 아니라, 매출 규모의 차이가 크기는 합니다.
- 현대차
- 한화 시스템
- 피씨디렉트
'UAM(Urban Air Mobility) 도심 항공 모빌리티' 분야는 2025년 상용화를 목표로 ‘한국형 도심 항공교통(K-UAM) 로드맵’을 발표하고 사회변화와 연동된 시스템 구축을 추진하는 영역입니다.
도시의 대형화와 교통시스템의 다변화에 큰 목표를 가지고 있는 UAM의 발전이 미래생활의 편리함에 더욱 큰 힘이 될 것입니다.
우리의 도시 문화와 환경인 '교통기술 시스템에 도전하는 모든 기업들이 강하게 성장하기를' 기원드립니다.
2021.03.26 - [Invest Management/Issue & Q] - '로봇' 우리의 생활에 어떻게 활용되나?
'로봇' 우리의 생활에 어떻게 활용되나?
'로봇' 우리의 생활에 어떻게 활용되나? "치킨 브랜드 ‘롸버트치킨'을 운영하는 스타트업 로보 아르테는 1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25일 밝혔다."라는 기사를 접했는데요, "치킨 조리를
kimsf.tistory.com
2021.03.24 - [Invest Management/Case Study] - '자율주행 기술' ? 레벨 4는 뭐지?
'자율주행 기술' ? 레벨 4는 뭐지?
'자율주행 기술'? 레벨 4는 뭐지? 자율주행과 관련한 기사가 있는데, "레벨 4 자율주행을 상용화한다."라고 합니다. 자율주행도 레벨이 있나? 뭔 소릴 하는지... 개인적???으로 잘 모르는 용어라 잠
kimsf.tistory.com
2021.02.21 - [Invest Management/Case Study] - 정몽구 회장이 손 뗀 현대차그룹
정몽구 회장이 손 뗀 현대차그룹
정몽구 회장이 손 뗀 현대차 그룹 현대차 그룹 경영의 중심이 정의선 부회장으로 완전히 옮겨지는 것 같습니다. 주요 내용 1. 재계에 따르면 24일 현대모비스 주총에서 정몽구 회장은 등기이사
kimsf.tistory.com
'Invest Management > Issue & Q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미국이 인프라투자를 2조 달러(약 2천600조 원)나 한다고? (0) | 2021.04.01 |
---|---|
'마진콜' 너 뭔데? (0) | 2021.03.31 |
'로봇' 우리의 생활에 어떻게 활용되나? (4) | 2021.03.26 |
'자율주행 기술' ? 레벨 4는 뭐지? (0) | 2021.03.24 |
Live 방송이 대세? 유통의 돌파구가 될까? (0) | 2021.03.21 |